국민연금은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 공적연금이죠. 얼마 전 제3차 국민연금 개혁이 국회 본회의에 통과되면서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는데요. 2025년 국민연금 국민연금 납부액과 예상수령액을 함께 알아봅니다. 쉽게 알려드릴텐니 천천히 따라오시면 됩니다.
[목차]
1.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대표 공적연금이죠. 경제활동이 가능한 시기에 나와 회사가 보험료를 매달 납부하다가 노후에 연금 형태로 지급받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8~60세 미만은 의무적 가입이며, 소득을 바탕으로 절반은 근로자 본인이, 나머지 절반은 사업주(회사)가 부담하게 됩니다.
물론 납부 예외 신청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실업자, 학생, 주부 등 소득이 없는 경우 국민연금공단에 납부 예외 신청을 하면 보험료를 안 낼 수 있습니다. 물론 연금 수령액은 감소합니다.
해외 장기 체류 중인 경우도 납부 예외 신청이 가능합니다. 군 복무 중인 경우도 납부 예외가 됩니다. 군인 크레딧 제도가 있어서 12개월을 납부 인정해 줍니다. (개정 후)
또한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경우도 납부 예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공무원, 군인 등 임의가입자도 제외됩니다.
2.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매달 정기적으로 보험료를 내면 내가 받는 보험금은 얼마일까 궁금하기 마련인데요.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① 먼저 국민연금 공단 홈페이지에 방문해 주세요. 그리고 '전자민원 서비스 클릭'
② 다음으로 전자민원 서비스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 메뉴 중 '개인'을 클릭해 주세요. 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을 진행
③ 로그인은 간편 인증로그인, 인정서로그인, 네이버로그인 중 택 1 하시면 됩니다.
④ 로그인하셨으면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가 가능한데요, 개인/가입내역 조회를 클릭해 주세요.
⑤ 그렇다면 이제 하단과 같이 국민연금 가입내역 조회를 통해 내가 낸 금액과 기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이제 예상수령액을 확인해 볼게요. 예상수령액은, '개인연금 가입내역 조회' 같은 페이지에 있습니다. 제일 하단으로 내려 보면 현재 가치 기준으로 내가 받을 연금 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국민연금 수급 나이와 조기 수령 방법
국민연금은 출생연도별 수급 나이가 다릅니다. 이것은 1,2차 국민연금 개정에 따른 결과인데요. 만 61세 수령을 시작으로 지금은 만 65세에 수령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조기 수령도 가능한데요, 조기 수령은 최대 5년 일찍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조기 수령한 만큼 수령액은 적어집니다. 반대로 수령을 늦출 수도 있는데요, 늦추면 늦출수록 수령액은 많아집니다.
출생년도 | 53~56년생 | 57~60년생 | 61~64년생 | 65년~68년생 | 69년생 이후 |
수급연령 | 만 61세 | 만 62세 | 만 63세 | 만 64세 | 만 65세 |
조기수령 | 만 56세 | 만 57세 | 만 58세 | 만 59세 | 만 60세 |
조기 수령해서 받느냐? 아니면 정상적으로 받느냐? 아니면 늦춰서 받느냐? 무엇을 좋을까요?
물론 각각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정상적 나이에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조기 수령 할 경우 매년 6% 감액된 연금을 받게 되며, 추후 근로를 다시 하게 될 경우, 연금이 일시 중단됩니다. 너무 늦추어서 받으면 연금액은 올라가겠지만, 사망으로 인한 수급 기간이 짧아질 수 있는 위험도 있습니다.
5. 2025년 국민연금 예상수령액과 납부액 조회 결론
지금까지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과 납부액 확인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중요한 것은 국민연금만으로 노후가 준비되는가입니다. 국민연금 수령액과 최소 생활비에 간극이 있고 이에 많은 사람들이 연금저축계좌 또는 IRP(퇴직연금)을 별도로 준비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저도 작년에 연금저축펀드를 개설해서 만들고, 올해는 IRP를 개설할 예정인데요 이 두 계좌는 1년 최대 900만 원 세액공제가 가능하고 과세이연 및 저율과세라는 큰 장점이 있어서 직장인에게 필수인 것 같습니다.
아직 연금저축펀드나, IRP가 없는 분들은 하루라도 빨리 만드는 것을 강력 추천합니다.
이에 대한 정보나 투자종목이 필요하다면 하단 포스팅을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
[경제, 생활] - 2025년 국민연금 개혁 무엇이 달라지는가? 시행일과 향후 대책은?
2025년 국민연금 개혁 무엇이 달라지는가? 시행일과 향후 대책은?
국민연금이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세 번째 개혁을 실시합니다. 2007년 이후 무려 18년 만에 이루어진 일인데요. 국민연금 개혁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는 모두가 동의하였는데요, 과연
iamnomadic.tistory.com
나도 만들어야 하는 IRP, 연금저축, ISA 비교 및 세제혜택 총정리 (운용방법 안내)
나도 만들어야 하는 IRP, 연금저축, ISA 비교 및 세제혜택 총정리 (운용방법 안내)
세재혜택을 주는 특별한 계좌가 3가지 있습니다. 바로 'IRP', '연금저축', 'ISA'입니다. 이 3가지 계좌는 비과세 및 세액공제라는 좋은 혜택이 있는데요. 비슷하면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참
iamnomadic.tistory.com
[대출, 투자] - 개인 IRP 계좌 어디에 투자할까? (IRP 혜택 및 투자 총정리)
개인 IRP 계좌 어디에 투자할까? (IRP 혜택 및 투자 총정리)
IRP는 편안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데요. 세액공제 및 분리 과세 등 많은 혜택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IRP 계좌의 혜택을 누리면서, 효과적인 투자 방법을 고민해야 하는데요. 운용을
iamnomadic.tistory.com
[대출, 투자] - IRP, 연금저축계좌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차이, 장단점, 투자 후기)
IRP, 연금저축계좌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차이, 장단점, 투자 후기)
IRP와 연금저축계좌 무엇부터 만들어야 하는지 또 만들고 어디에 투자해야 할지 막막하시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IRP와 연금저축계좌를 비교하고, 어디에 투자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알려 드립
iamnomadic.tistory.com
'경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청 원클릭환급서비스 신청 방법, 후기 (원클릭으로 신청, 놓치면 손해) (0) | 2025.04.05 |
---|---|
세금 환급 신청 방법(삼쩜삼 VS 국세청 원클릭 환급신고 사용 후기) (0) | 2025.04.02 |
2025년 국민연금 개혁 무엇이 달라지는가? 시행일과 향후 대책은? (1) | 2025.03.24 |
새마을금고, 농협, 신협, 출자금통장 장단점, 배당금, 가입, 해지 방법 알아보기 (2) | 2025.02.10 |
ISA 3년 후 연금 전환하면 좋은 점 3가지 (연금저축펀드, IRP) (0) | 2025.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