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ISA, 연금저축펀드, IRP 계좌를 개설하고 투자하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SA, 연금저축펀드, IRP 계좌에서 안정적으로 투자하면서 1년 수익률 3.86%를 얻을 수 있는 파킹형 ETF(RISE 머니마켓액티브)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1. ISA, 연금저축계좌(펀드), IRP에 투자할 수 있는 종목 추천
ISA, 연금저축계좌(펀드), IRP 계좌에서는 보통 국내 상장 해외 ETF인 '미국나스닥 100', 'S&P 500'과 같은 상품에 투자합니다. ISA, 연금저축계좌(펀드), IRP에서는 미국주식에 직투(직접투자)를 할 수는 없지만, 미국나스닥 100이나 S&P 500를 추종하는 국내상장 ETF 상품에는 투자할 수 있습니다.
'미국나스닥 100', 'S&P 500'은 3년, 5년, 10년 기간을 두고 보면 계속 우상향 했기 때문에, ISA, 연금저축계좌(펀드), IRP와 같이 긴 시간을 두고 투자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미국나스닥 100', 'S&P 500'과 같은 상품에 투자하기가 좋습니다.
국내상장 '미국나스닥 100', 'S&P 500' 상품도 출시한 증권사에 따라 상품이 다양합니다. 증권사 규모, 수수료 등을 종합해 보면 삼성증권(KODEX)의 상품들이 약간 유리합니다.
관련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대출, 투자] - 개인 IRP 계좌 어디에 투자할까? (IRP 혜택 및 투자 총정리)
개인 IRP 계좌 어디에 투자할까? (IRP 혜택 및 투자 총정리)
IRP는 편안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데요. 세액공제 및 분리 과세 등 많은 혜택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IRP 계좌의 혜택을 누리면서, 효과적인 투자 방법을 고민해야 하는데요. 운용을
iamnomadic.tistory.com
2. ISA, 연금저축계좌(펀드), IRP에 투자할 수 있는 안정형 투자 상품 (파킹형 ETF)
이제는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파킹형 ETF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미국나스닥 100', 'S&P 500' 상품이 오랜 시간을 두고 보면 수익을 줄 확률이 훨씬 높지만 투자 규모가 크고, 주식의 변동성을 견디지 못하는 분들은, 수익률이 낮아도 안정적인 상품을 찾기 마련인데요.
이번에 제 아내도 ISA 계좌를 삼성증권에서 개설을 하고, 은행수익률보다는 높고, 일반 주식보다는 안정적인 상품을 찾게 되었습니다.
여러 상품을 비교 분석한 결과, 25년 3월 기준, 파킹형 ETF 중에는 가장 높은 상품을 찾았습니다.
파킹형 ETF는 사실 수익률보다는 안정성에 무개를 두는 상품입니다. 지금 당장에 투자처를 찾지 못해서, 잠시 돈을 맡기고 이에 따른 이자를 받는 구조인데요.
이러한 파킹형 ETF의 장점은 큰 변동성 없이 은행 이자정도를 받을 수 있다는 것과, 주식처럼 언제든지 넣고 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단점이라면, 수익률이 3%~4% 사이로, 은행 이자 보다 약간 높은 정도입니다. 수익률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하는 분들이라면 고려해 볼만한 ETF입니다.
자 그러면 이 상품이 무엇인지 아래에서 소개합니다.
3. RISE 머니마켓액티브
파킹형 ETF 중에 가장 수익률이 좋은 ETF는 'RISE 머니마켓액티브'입니다. 연 수익률이 3.86% 가장 높습니다.
파킹형 ETF 상품중에서는 가장 수익률이 좋습니다. 지수 그래프를 봐도 변동성이 전혀 없습니다.

RISE 머니마켓액티브의 장점은 연 보수율도 0.0610%로 다른 파킹형 ETF 보수율보다도 낮다는 것입니다.
수익률은 높고 보수는 낮고 1석 2조이네요.
물론 보수율은 운용자금, 운용사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RISE 머니마켓액티브는 고수익보다는 자금을 맡기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좋은 상품입니다.
토스나 다른 은행에서도 파킹형 계좌를 운용하고 있지만 대부분 2%에 불과하죠. 그러나 RISE 머니마켓액티브는 3.86%라서 자금을 단기적으로 운용하기 좋습니다.
RISE 머니마켓액티브는 일반 증권계좌에서도 거래할 수 있는데요. 다만 일반 증권계좌에서 거래 시 15.4% 배당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그러면 실제 이율은 3.27%입니다.
그러나, 이 상품을 ISA 계좌로 매수하면 200만 원(최대 400만 원)까지 비과세가 적용되기 때문에 대략 5,181만 원을 투자하면, 3.86% 이율 기준으로 200만 원의 이자소득을 얻을 수 있고, 전액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5000만 원이 넘어도 넘는 금액은 9.9% 분리과세가 되기 때문에 은행의 15.4% 보다 훨씬 더 유리합니다.
따라서 단기자금을 파킹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한다면 ISA 계좌에서 RISE 머니마켓액티브를 구매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연금저축펀드나, IRP에서 RISE 머니마켓액티브 상품을 구매하면, 54세까지 비과세 되고, 55세에 배당금에 대해서 5.5% 이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다만 연금저축계좌나 IRP 계좌에서는 파킹형 ETF보다는 국내 상장 미국 ETF 가 훨씬 더 유리합니다.
4. RISE 머니마켓액티브 투자 방법
RISE 머니마켓액티브 투자 방법은 일반증권 어플의 경우, 투자상품에서 'RISE 머니마켓액티브'를 검색하면 상품이 나오며 ISA 계좌나, 연금저축펀드, IRP의 경우에도 해당 계좌에서 'RISE 머니마켓액티브'를 검색해서 상품을 구매하면 됩니다.
25년 3월 현재 1주에 53,975원입니다. 천만 원을 투자할 시 약 185주를 살 수 있고, 1년 수익률은 대략 38만 원 정도입니다.
5. ISA, 연금저축계좌(펀드), IRP 투자종목 추천, 안정적인 파킹형 ETF 결론
아내는 ISA 계좌를 통해 RISE 머니마켓액티브 상품을 구매했습니다. 파킹형 ETF 이기 때문에 ISA 계좌 안에서는 언제든지 넣었다 뺄 수 있습니다.
단기자금을 보관하기에는 최고인 것 같습니다.
만약 주식과 같은 변동성에 민감하고, 은행 이자보다는 높은 이율을 원하는 분들에게는 단기적으로 RISE 머니마켓액티브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지수 ETF 수익률에 비하면 한참 부족하지만, 흔들리지 않은 편안함이 있으니까요.
지금까지 ISA, 연금저축계좌(펀드), IRP 계좌에서 투자할 만한 안정적인 파킹형 ETF인 RISE 머니마켓액티브에 대해서 소개해 드렸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대출, 투자] - ISA, 연금저축펀드, IRP 해외 ETF 세제 개편 (15% 이중과세?, 해법은?)
ISA, 연금저축펀드, IRP 해외 ETF 세제 개편 (15% 이중과세?, 해법은?)
ISA, 연금저축(보험, 펀드), IRP는 대표적인 절세계좌로 알려진 절세계좌 3 총사인데요. 최근 세제 개편에 따른 발표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이슈가 뜨겁습니다. 이제 이 계좌에서도 국내 상장 해외 E
iamnomadic.tistory.com
[대출, 투자] - 25년 기준 미국주식 증권사 추천 (수수료, 환전우대 비교) TOP 3
25년 기준 미국주식 증권사 추천 (수수료, 환전우대 비교) TOP 3
최근에 국장에서 미장으로 옮기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고요. 아무래도 국장보다는 미장에서 수익 내기가 더 좋기 때문인데요. 미국주식을 하면서 좋은 증권사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
iamnomadic.tistory.com
[대출, 투자] - 고배당에 주가상승까지 커버드콜 ETF 추천 (ISA, 연금저축펀드, IRP ETF)
고배당에 주가상승까지 커버드콜 ETF 추천 (ISA, 연금저축펀드, IRP ETF)
ISA 계좌나 연금계좌(연금저축펀드, IRP)를 운용하는 분들의 고민은 계좌를 어떻게 운용하여 성과 있는 투자를 할 수 있을까라는 것입니다. 성과 있는 투자를 위해서는 좋은 종목에 투자해야 하며
iamnomadic.tistory.com
[대출, 투자] - 국채 + 커버드콜 가장 좋은 ETF는 뭘까? (IRP, 연금저축펀드, ISA 투자가능 ETF)
국채 + 커버드콜 가장 좋은 ETF는 뭘까? (IRP, 연금저축펀드, ISA 투자가능 ETF)
IRP, 연금저축펀드, ISA 계좌를 운용하다 보면, 어떻게 운용해서 가장 좋은 수익률을 만들어 낼까 하는 고민이 생깁니다. 이러면서 지수추종 ETF 외에 국채라던지 커버드콜 상품에도 관심을 갖게
iamnomadic.tistory.com
'대출,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 어디서 만들면 좋을까요? (증권사에서 만들면 좋은 이유 3가지) (1) | 2025.03.23 |
---|---|
소액생계비대출 12조 공급 (재대출, 추가대출 대상 및 신청방법) (0) | 2025.03.18 |
양자컴퓨터란? 양자컴퓨터 관련주, 투자 유의사항, 투자 방법, ETF (총정리) (2) | 2025.03.03 |
ISA, 연금저축펀드, IRP 해외 ETF 세제 개편 (15% 이중과세?, 해법은?) (0) | 2025.02.11 |
25년 기준 미국주식 증권사 추천 (수수료, 환전우대 비교) TOP 3 (1) | 2025.02.09 |
댓글